상담센터나 소아정신과를 알아보신 분들은 공통적으로 말씀하시는게 바로 치료비용이 비싸다는거에요.
그래서 또 알아보다보면 기관에 따라 치료비용이 많게는 2,3배까지도 차이가 나죠.
지역에 따라 다를수는 있지만 아주 저렴한곳은 4~5만원 대부터 비싼곳은 10~12만원대까지 다양해요.
그외에 복지센터나 국가지원 기관에 가면 더 저렴하기도 하구요.
그러면 당연히 사람 마음이 저렴한 곳에 끌리다가도
근데 혹시 치료의 퀄이 다른거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드시게 마련인것 같아요.
제 다른 글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치료사들은 석사학위에 열정페이로 경력을 쌓는 인턴과 자원봉사 활동들,
그리고 치료 하는중에도 계속해서 슈퍼비젼을 받고 학회활동과 보수교육들을 받아야해요.
이 모든게 다 시간과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들어요.
2018/04/20 - [therapist life/아동심리상담사의 모든 것] - 아동심리상담사의 근무환경/대우/급여
아동심리상담사의 근무환경/대우/급여
아동심리치료사가 되면 어디서 어떤 대우를 받으며 일하나요? 이 부분에 대한 답을 찾을곳이 사실 별로 없죠. 저도 대학원 시절에는 이런게 되게 궁금한데 알수가 없어서 답답하기도 해서 선배님들을 만날때마다..
happyapril.tistory.com
그래서 치료사분들 중에는 인풋 대비 아웃풋이 별로라는 이유로 이 직업을 추천하지 않는 분들도 많아요.
저도 사실 주변에서 물어보면 인풋 생각하지 않으면 괜찮다고 이야기해주죠.
그런 전문성을 전제로 치료비용이 책정되다보니
당연히 그 과정을 모르시는 분들이 생각하기에는 비싸다는 생각이 들수밖에 없죠.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치료에서 치료사는 가장 중요한 도구에요. 그러니 치료사의 경력과 전문성은 절대적으로 필요하죠.
치료의 효과와 기간이 정말 차이가 날수 있거든요.
2020/04/03 - [therapist tip/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놀이치료, 그냥 노는거 아니에요?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놀이치료, 그냥 노는거 아니에요?
요즘은 인터넷에 정보가 참 많죠. 그래서 센터나 병원에 내원하시는 부모님들도 놀이치료에 대해 한번쯤은 듣고 오시더라구요. 그런데 인터넷에 있는 놀이치료의 정의, 소개 이런거 참 머리에 확 안들어오죠? 뭔..
happyapril.tistory.com
당연히 경력 많고 커리어 좋은 치료사일수록 그동안 들인 input이 있으니 더 나은 대우를 원하고
그러면 아무래도 치료비가 비싼 사설 상담센터에 많이 들어가죠.
보통은 비율제로 받다보니 치료비가 비쌀수록 치료사가 받는 비용도 2~3배까지 차이가 난단 이야기니까요.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치료비가 너무 저렴한 곳은 학위가 없거나 경력이 없는 분들이 경력쌓는용으로 일할 확률이 높죠.
그래도 복지센터나 국가부설 기관의 치료 퀄은 아무래도 더 보장되지 않을까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여기도 마찬가지로 시장경제의 원리가 작동합니다.
경력 많은 프리랜서 치료사들은 사설기관에서 일주일에 3~4일정도 반나절만 일해도 벌수 있는 금액을 받으면서
국가 지원 기관에서 주5일 풀타임 근무하는걸 선택하는 경우는 별로 없거든요.
그러다보니 그런곳에서는 아직 수련중인 대학원생들이 파트로 치료를 맡기도 하니 복불복인 경우가 많아요.
그러면 비쌀수록 무조건 경력 많고 좋은 치료사들이 정비례해서 더 많아지는가 하면 그건 아닌것 같아요.
왜냐면 상담센터든 소아정신과든 조금씩 분위기나 근무여건이 다르거든요.
그러다보니 '어느정도 이상의 페이'만 되면 그냥 오래 일하고 맘 편한곳에서 근무하련다 하는 치료사분들도 많아요.
결론은, 비쌀수록 무조건 경력 많고 전문성 있는 치료사만 있는건 아니지만 확률은 높다는 것,
따라서 어느정도 이상의 비용은 하는 곳을 가시는게 적어도 안전하다는 겁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은 6~7만원 정도의 치료비는 받는게 보통인것 같아요.)
1. 가까운 곳에 가세요.
놀이치료 관련 포스팅 보시면 아시겠지만 치료기간은 굉장히 길고 치료의 안정성때문에 되도록 결석하면 안되거든요.
근데 너무 멀거나 가기 어려운곳을 다니면 부모님도 아이들도 쉽게 지치게 마련이에요.
특히 부모님들이 지치고 그러다보면 치료가 오래 안정적으로 지속되기가 힘들죠.
그러니 되도록 가깝고 동선이 편리한 곳을 선택하세요.
2. 치료사의 학위와 경력을 오픈하는 곳으로 가세요.
요즘은 홈페이지에 그런것들을 오픈하기도 하고 부모님들이 요청하면 알려주기도 합니다.
말했지만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도구는 치료사이니 치료사의 경력을 아는건 아주 당연한 권리에요.
확인하고 기본적으로 일반대학원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과 경력이나 수련을 많이 받은 치료사가 있는 곳을 선택하세요.
3. 되도록이면 치료사가 자주 바뀌지 않는 곳으로 가세요.
치료사가 자주 바뀌는 기관이라면 여러가지 이유로(대우, 급여, 조건, 분위기등) 좋지 않은 기관일 확률이 높아요.
이런곳들은 경력많은 치료사들이 기피하게 될 확률이 높거든요.
물론 이건 다니기전에는 알기 힘들긴 하지만 정보를 얻을 수만 있다면 오래 일한 치료사들이 많은곳이 더 좋아요.
이상이 제가 알려드릴수 있는 좋은 심리상담센터 or 소아정신과 고르는법이었습니다.
당연히 절대적인건 아니고 보통 전반적인 분위기는 이렇다 정도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가장 중요한건 부모와 치료사의 합이 맞는것이니 도움이 필요하다면 기관에 방문해서
직접 상담하면서 기관의 분위기와 치료사가 잘 맞는것 같은지를 파악하시는게 중요합니다.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TV/핸드폰/영상/미디어 얼마나 보여주는게 적당할까요? (1) | 2020.04.27 |
---|---|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우리 아이가 성기를 자꾸 만져요. (0) | 2020.04.21 |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아이의 끝없는 무한 반복 질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0) | 2020.04.13 |
[부모님들이 궁금해하는 이야기] 집에서 아이랑 놀 때 어떤 말을 해줘야 하나요? (0) | 2020.04.12 |